실직·이혼·사망 등 위기상황시 받을 수 있는 정부·지자체 지원제도를 정리했습니다.
갑작스러운 실직, 이혼, 가족 사망은
가정의 경제·정서적 기반을
크게 흔드는 사건입니다.
정부와 지자체에서는
이러한 위기 상황에 처한 가구를 위해
생계·주거·의료·심리 등
다방면의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
2025년 최신 기준과 함께
공식 법령·부처 출처를 제공해
신뢰도 높은 정보를 안내합니다.
📌 목차
- 위기상황 지원 – 긴급복지지원제도
- 위기상황 지원 – 실직시 지원
- 위기상황 지원 – 이혼후 한부모 지원
- 위기상황 지원 – 사망시 장제비·유가족 지원금
- 위기상황 지원 – 심리상담·법률지원
- 신청시 유의사항
1. 위기상황 지원 – 긴급복지지원제도
긴급복지지원제도는
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으로
생계유지가 곤란한 경우
생계비·의료비·주거비 등을
신속히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- 대상: 실직, 이혼, 사망, 화재, 중한 질병·부상 등
- 금액:
- 생계지원: 1인 가구 약 68만원, 4인 가구 약 174만원
- 의료지원: 1회 최대 300만원
- 주거지원: 월세 또는 임시 거처 제공
- 신청: 읍·면·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긴급복지
- 근거 법령: 긴급복지지원법
2. 위기상황 지원 – 실직시 지원금
실직한 경우 받을 수 있는 주요 지원입니다.
- 구직급여(실업급여):
고용보험 가입자 중 요건 충족 시,
평균임금의 60%를 최대 270일간 지급
→ 고용보험 실업급여 안내 - 국민취업지원제도:
소득·재산·취업경력 요건 충족 시
월 50만원씩 6개월 지급,
조기 취업 시 취업성공수당 추가
→ 국민취업지원제도 공식 안내 - 재취업 훈련비 지원:
직업훈련비·교통비·훈련수당 지급
(※ 금액은 과정·지자체별로 상이 – 확인 필요)
→ 직업훈련포털 HRD-Net
3. 위기상황 지원 – 이혼 후 한부모 지원
이혼으로 한부모가 된 경우
다음과 같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아동양육비: 자녀 1인당 월 20만원
- 청소년 한부모 추가지원: 월 35만원
- 주거·교육비: 한부모가족증명서 제출 시 우선 지원
(※ 일부 지자체는 추가 지원금 지급 – 확인 필요) - 신청: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한부모 지원 안내
- 근거 법령: 한부모가족지원법
4. 위기상황 지원 – 사망시 장제비·유가족 지원금
가족이 사망한 경우 받을 수 있는 지원입니다.
- 장제급여:
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사망시 1회 80만원
→ 복지로 장제급여 안내 - 유족연금:
국민연금 가입자의 유족에게 지급,
가입기간·소득에 따라 금액 변동
→ 국민연금 유족연금 안내 - 산재유족급여:
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시 유족에게 지급
(※ 지급액은 재해·소득 조건에 따라 상이)
→ 근로복지공단 산재유족급여 안내
5. 위기상황 지원 – 심리상담·법률지원
경제 지원 외에도
심리 안정과 법률 상담이 가능합니다.
✅ 신청 시 유의사항
- 신청주의 – 대부분의 제도는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습니다.
- 기간 제한 – 사망·이혼 등 일부 지원은 발생 후 6개월 이내 신청 필요
- 증빙서류 필수 – 신분증, 주민등록등본, 소득·재산 증명, 사건 관련 서류
- 지자체별 차이 – 같은 제도라도 금액·조건이 다를 수 있음
🔗 내부 링크 추천
'유용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장애인 복지서비스와 보조금 신청하기 (0) | 2025.08.12 |
---|---|
기초생활수급자가 받을 수 있는 5가지 급여 신청하기 (0) | 2025.08.10 |
2025 농민·어민 지원금 신청하기 (0) | 2025.07.29 |
공무원 월급 실수령액 2025년 기준 총정리 (0) | 2025.07.27 |
2025년 공무원 전용 복지와 혜택 총정리 (0) | 2025.07.26 |
📱 휴대폰 보조금 비교 사이트 추천 TOP3 (0) | 2025.07.25 |
프리랜서·특수고용직이 받을 수 있는 정부 혜택 (0) | 2025.07.23 |
자영업자를 위한 정부 정책자금 7가지! (0) | 2025.07.22 |